*간단한 건데, 의외로 검색어에 이 내용이 노출이 안되는 것 같아서 기록해둔다.
나처럼 의문을 갖고 헤매고 있었을 사람을 위해서ㅋㅋㅋㅋ 힘내라 용자여!
import Reac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app.css";
import VideoList from "./components/video_list/video_list";
function App() {
const [videos, setVideos] = React.useState([]); //null video
위와 같이 작성해도 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해도 된다.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app.css";
import VideoList from "./components/video_list/video_list";
function App() {
const [videos, setVideos] = useState([]); //null video
react라는 모듈(=라이브러리) 안에서 어떤 멤버(=함수)을 가져올 것인지 명명하는 것이다.
앞에 React 라고 써져 있는 것은 namespace로써, import 한 모듈을 어떤 이름으로 부를 것인가를 말하는 것 뿐이다.
위 쪽에 있는 것처럼 React.모듈명 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헷갈리면 한번 더 참조
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import
'Javascript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class 문법 - super() 정의 (0) | 2021.04.07 |
---|---|
[Dev] CallBack 콜백함수 (0) | 2021.03.29 |
[JavaScript] 검색 기능 만들기 [펌] (2) | 2021.02.10 |
[javascript] typeof, instanceof 설명 (0) | 2021.01.26 |
ECMAscript != Javascript (0) | 2021.01.14 |
[Javascript] 화살표 함수 간략 설명 (0) | 2021.01.13 |
Print 기능 구현 방법 (영역인쇄, javascript) (2) | 2020.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