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s3 [React]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로 데이터 보내기 (child -> parent) by React Hook 개발자 유튜브를 운영중입니다. 구독 부탁드립니다. 리코딩 ReCoding PM으로 일하다 38살에 프론트 엔드 개발자로 전직했어요. 코딩을 모르던 잘 모르는 상태에서 이직을 꿈꾸시는 분들... 그리고, 다시 코딩을 시작해보고 싶으신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www.youtube.com #2021.06.25 내용 추가 : 이 것의 본질은 props 로 내려주는 것이 data가 아니라 function 이라는 것이다. 그 게 본질이다. 너무 어렵게 설명을 이리저리 했던 것 같다. 내가 이해한 본질은 이러했다. 리액트를 쓰다보면 parent의 props에 속성 값을 보내서, child에서 처리하는 것 뿐만아니라, child에서 처리한 것을 부모로 보내주어야 할 때가 있다. 아래와 같이 부모로 부터 전달받은.. 2021. 3. 30. [React] Props란 무엇인가? function Welcome(props) { return Hello, {props.name}; } function App() { return ( ); } ReactDOM.rend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App function이 있는 이유는 return에서 여러 개의 복합적으로 구성된 Component를 한번에 ReactDOM.render에 보내기 위해서이다. 정확히는 index.html에 있는 div class=root 에 보내기 위해서이다. props는 객체 생성 시에 지정되는 value를 받아서 처리하기 위한 react에만 있는 유니크한 정의이다. (위에서는 Welcome 을 생성 시에 "Sara", "Cahal", "Edite" 값을 받아주는 역할을.. 2021. 1. 27. State & Props 정의 가장 명확하게 설명해 둔 글 같아서 기록해둔다. 여기 저기서 정의한 내용보다 훨씬 낫다. 1. State 컴포넌트 안에서 우리가 정의한 컴포넌트의 state 오브젝트 입니다. 컴포넌트 UI를 위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오브젝트로, 이 state라는 오브젝트를 통해서 데이터에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리액트가 자동적으로 우리가 구현한 render 함수를 호출하죠. 이 부분은 아마 제가 개념 설명을 할때 많이 얘기 해서 잘 아실것 같아요 🙌 2. Props 컴포넌트 밖에서 주어지는 데이터 입니다. 컴포넌트 안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State와는 다르게, Props은 컴포넌트 외부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습니다.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높이기 위해서죠 :) 상황에 따라 주어진 데이터를 .. 2020. 12.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