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Basic17

[git] rebase 개념 배경 요즘 내가 주로 rebase를 사용하는 때는, issue에 따라 brunch를 여러 개 만드는 경우다. Merge과정 보통 수정 작업은 issue 생성 -> brunch 생성 -> 작업내용 commit -m -> push to 생성한 brunch(보통 dev) [pull request 생성 (작업 brunch -> parent brunch ) 문제의 시작 1. dev를 기반으로 feat1, feat2 brunch 생성하고 2. feat1을 dev에 Merge를 하고 나서, feat2가 문제가 발생 왜냐하면, feat2 brunch를 생성한 시점의 dev는 feat1이 수정되기 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럴 때 feat1이 merge된 dev brunch를 모두 pull받고 나서 feat2 brun.. 2023. 8. 9.
[Network] Http Status CODE [사례 계속 추가] Status Code Error 를 경험할 때마다 계속 추가할 예정이다. 같은 Status Code 여도 다른 경우가 너무 많다. 1XX : Information responses (정보) 2XX : Successful responses (성공) 3XX : Redirection messages (리다이렉션) : 추가작업 필요 4XX : Client error responses (클라이언트 오류) 5XX : Server error responses (서버 오류) 500 Internal Server Error (내부 서버 에러) 경험한 사례 DB 서버에 column이 추가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 api를 이용한 경우. 2021. 10. 12.
NPM 명령어 정리, package.json(+scripts) 생성 및 사용 방법 # NPM(Node Package Manager)이란? - Node.js 전용 패키지가 올라가 있는 서버이다. - 패키지 업로드/다운로드 및 버전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node.js를 설치할 때 함께 설치된다. * 패키지는 남들이 만들어 놓은 외부모듈로, 라이브러리 같은 개념이다. * NPM 공식 사이트: https://www.npmjs.com/ # package.json 생성 - 수많은 패키지를 다운받다보면 관리가 어려워진다. - 그래서 프로젝트마다 package.json 파일을 만들어서 패키지 목록 및 버전을 관리한다. * 프로젝트를 생성하자마자 package.json을 만들어주고 시작하길 권장한다. - 명령어: npm init 1) package name 등의 정보를 입력해준다. 필요 없는 항목.. 2021. 9. 15.
[Algorithm] 알고리즘 학습 순서 & 방법 & 참고자료 링크 기록 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 공부 (javascript) 2. 알고리즘 기본100제 -> 학습한 javascript 문법을 확인하는 차원부터 진짜 학습까지 https://www.notion.so/JS-100-94d97d294dd14c9b911a02c840fa9f2d 3. 문제풀기(그리디, 탐색, 기초 동적프로그래밍 50문제씩하면 좋음) -> 학습 순서만 참고할 것. javascript도 비슷한 문제는 많다. 프로그래머스로 학습하면 될 듯. 이후에는 javascript문제집을 사서 푸는 것도 괜찮을 듯...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4. 기출문제 풀기(프로그래머스:카카오) -> 오히려 이 걸 먼저 해야 하는 것 아닐까? 출처 : 학습순서 안내 https:/.. 2021. 9. 9.
[방법론] Scaffolding 스케폴딩 간단하게 생각하면, library 같은 것을 말한다.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자전거를 배울때 도움을 주는 보조바퀴 같은 존재이다. 어떤 그림을 그릴 때, 하나부터 열까지 전부다 할 수는 없다. 캔버스는 누가 만들어 놓은 것을 쓰는게 좋다. 붓도 그렇다. 음식도 그렇다. 모든 재료를 다 재배해서 음식을 만들 수는 없다. scaffolding 도 같은 개념이다. 개발자가 무언가 개발을 시작할 때, 처음부터하자면, 너무 힘들다. 그래서 템플릿이나, 주변에서 누군가 만들어둔 library 같은 것을 이용해서 만들곤 한다. 이렇게 하다보면, 혼자서 library나 template을 만들 수 있는 개발자가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캐폴딩의 목적) 목적을 이해하고 만들어.. 2021. 4. 16.
[git] clone하기 전에 해야할 것 1. 본인 컴퓨터에서 ssh 을 생성한다. 2. git사이트의 계정 내에 나의 ssh 정보를 등록한다. 3. git clone 명령어로 다운로드 받는다. 참조 :" xho95.github.io/macos/security/openssh/ssh/gitlab/2017/02/22/Using-SSH-on-Mac.html 2021.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