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46

[코딩테스트/해시] 완주하지 못한 선수 by Programmers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10. 26.
[코딩테스트/완전탐색] 모의고사 by Programmers 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 2021. 10. 26.
[Basic] for …in 반복문을 처리하는 배열과 객체 (obj & array for looping) The developer say code. 배열인 경우는 index를 출력한다. 객체인 경우는 key 값을 순서대로 출력한다. 객체를 만약 {a:1, c:2, b:3} 이렇게 입력했으면, a,c,b 순서로 출력을 행한다. 이런 특성을 Enumerable 이라고 한다고 한다. Enumerable 이라는 것 자체가 순서를 열거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것을 말한다. 사실 find나 map, filter 같은 것도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갖고 있다. (추가적인 자료는 밑에 참조 경로를 참조) index 나 key를 string 으로 받기 때문에 index가 있거나, key가 있을 때, 예를 들어, if(Array.key=== "a") { /* codes */} 같은 방식으로 실행이 가능 할 것 같다. input co.. 2021. 6. 23.
try / catch 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개발자 유튜브를 운영중입니다. 구독 부탁드립니다. 리코딩 ReCoding PM으로 일하다 38살에 프론트 엔드 개발자로 전직했어요. 코딩을 모르던 잘 모르는 상태에서 이직을 꿈꾸시는 분들... 그리고, 다시 코딩을 시작해보고 싶으신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www.youtube.com 아래 handleClick() 내부에 try Catch 같은 것을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벤트핸들러의 경우에만 try / catch 를 사용한다. 그동안 예외 처리에 대해 그다지 신경을 안썼는데, 이제는 이렇게 했을 때, 문제를 인식하기 시작하게 되었다...(나름 성장한 것인가...?) 암튼, 앞으로는 이벤트핸들러를 동작할 때는 사용하기로... 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2021. 6. 10.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배열 추가, 삭제 방법 (push, pop, splice) [펌] 자바스크립트 배열 추가, 삭제 함수 배열 추가 : Array.push(), Array.unshift(), Array.splice() 배열 삭제 : Array.pop(), Array.shift(), Array.splice() 배열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var arr = ['a', 'b', 'c']; // arr = ['a', 'b', 'c', 'd'] arr.push('d'); // 배열의 끝에 요소를 추가 var arr = ['a', 'b', 'c']; // arr = ['d', 'a', 'b', 'c'] arr.unshift('d'); // 배열의 앞쪽에 요소를 추가 var arr = ['a', 'b', 'c']; // arr = ['a', 'b', 'd', 'c'] arr.splice(2, 0, 'd.. 2021. 5. 28.
[javascript] try..catch & 에러 핸들링 try { // 코드... } catch (err) { // 에러 핸들링 } finally { // 에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try/catch 이후에 실행됨 }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한다. 어떤 코드가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비책으로 코드를 작성해둘 수 있다. useEffect 안에서 무조건 실행되지 않는 구문이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에 catch 문을 활용해서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시키거나, 특정 String으로 적용시키는 게 좋을 수 있다. 코드라는 게 완벽할 수 없다. 어떤 상황에 에러가 발생할지 예상은 하지만 모든 예상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위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다. 스크립트가 중단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과용하면 코드가 복잡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중요한 핵심.. 2021. 5. 27.